PHOTOBOOKCLUB SEOUL
PHOTOBOOK_2018 #26 엄상빈의 또 하나의 경계 | Sang bin EOM's Another Border Line
최종 수정일: 2020년 8월 12일
Photobook Club Seoul presents #26 엄상빈의 또 하나의 경계 | Another Border Line.
바닷가에 끊임없이 이어진 철조망은 그냥 철조망이 아니다. 우리 현대사의 정치적 담론을 함축하여 보여주는 한 단면이기도 하다.
1960년대 후반 바닷가에 처음 등장한 군경계 시설물은 ‘흔적선 끌기'였다. 모래밭을 써레질하듯 평평하게 밀어 놓음으로써 밤사이 침입자의 발자국 등 흔적을 찾기 위함이었다. 그 무렵 섬뜩한 불빛이 수 킬로미터나 나가는 ‘서치라이트'라 부르던 탐조등도 등장했다. 그 다음은 나무울타리를 연상케 하는 ‘목책'이 생겨났고, 1970년 후반에 와서야 비로소 지금의 ‘철조망'이 등장했다. … 그래도 훗날 철조망이 걷히고 나면 ‘분단의 고통을 겪던 1980-90년대 우리의 조국 풍경이 이러했노라'고 사진으로 말할 날을 기대하며 이어 온 철조망 사진작업이 어느덧 30년 세월이 되었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순진한 기대와는 달리 철조망 조국 그대로다. 물론 해수욕장으로 개방되거나 상업시설이 들어선 곳 일부에서는 철조망이 사라지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본다면 ‘변함없음'이라 말할 수밖에 없다.
- 철조망의 애환, 엄상빈
The wire entanglements which are stretched continuously near the beach, are not just a hedgehog. They stand for a profile of political arguments connoting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first military watching facilities, first visible on the beach in the 1960s, were so-called ‘harrowing the beach,’ which means that soldiers drag some boards or logs onto the beach to make the sand more even to easily find out the trace of infiltrating enemy soldiers overnight. At the time, wooden hedgehogs, resembling a wooden fence, appeared, and modern wire entanglements began to be built on the beach after the late 1970s. ... Hoping that these photos would later show the atmosphere of a divided Korea in the 1980s and 1990s, I have taken pictures for about thirty years. To the contrary of my expectation, the state of wire entanglement in Korea still remains as unfortunate as ever. Though, these days a part of wire entanglement has disappeared only in the zone of beach resorts and business, but it generally remains unchanged.
- Joys and Sorrows from Wire Entanglement, Sang bin EOM
Title: 또 하나의 경계 (분단시대의 동해안) | Another Border Line (The Landscape of the East Sea Coast in the Korean Division Era)
Year: 2017
Artist: 엄상빈 | Sang bin EOM
Publisher: 눈빛출판사 | Noonbit publishing, Co.
Designer: 눈빛출판사 | Noonbit publishing, Co.
Printing: 예림인쇄 | Yerim Printing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