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작성자 사진PHOTOBOOKCLUB SEOUL

PHOTOBOOK_2021 #85 윤한종의 처리되지 않은 존재 | Hanjong YOON's Untreated Beings




Photobook Club Seoul presents #85 윤한종의 처리되지 않은 존재 | Hanjong YOON’s Untreated Being

‘처리되지 않은 존재’(Untreated Beings) 연작은 본질(Nature)과 변태(Metamorphosis)라는 두 시리즈로 나누어져 있다. 본질(Nature)은 아주 작은 전자부품을 마주하면서 ‘원래의 그것의 모습과 색상은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변태(metamorphosis)는 ‘원래의 그것이 아닌 대상이 전혀 다르게 변질된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라는 궁금증이 빚어낸 상상과 추측에 기인한 작업이다. 이 작업은 고유 색상을 지난 전자부품에 상처를 입히고 변형시켜서, 기계장치에 속한 삼원색(三原色) 빛의 다양한 밝기에서 촬영하여 불규칙과 우연성을 고려하여 재현하였다.


The Untreated Beings series is pigeonholed into the Nature series and the Metamorphosis series. In the Nature series, my work began with the question whale facing extremely tiny electronic components: ‘Are all tiny electronic components’ appearances and colors the original?’ In the Metamorphosis series, I photographed objects and their intrinsic colors under varying degrees of brightness using three primary lights in the machinery in regards to irregularity and haphazardness out of curiosity about “what do completely metamorphosed objects look like?’



매우 즉물적으로 보이는 윤한종의 <Nature> 시리즈는 의외로 어려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것은 테크놀로지 시대에 인간이 기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 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도 그냥 테크놀로지가 아니다. 인간의 세포 조직 속으로 깊숙이 침투해 있어서 어디까지가 인간적이고 어디부터가 기계적인지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발달한 테크놀로지를 말하는 것이다. 20세기까진의 이제 기계의 화두는 ‘성능이 얼마나 좋은가’가 아니라 ‘인간과 얼마나 잘 소통하여 인간의 감각에 파고들어 새로운 기계 세상을 열 수 있을까’이다. 기계는 인간과 인트페이스를 구성하여 우리가 ‘인간적’이라고 부르는것 속에 깊숙이 침투 혹은 삼투해 있는 것이다. 21세기의 기계들은 지능형이며 정보처리 능력과 마구 뒤셖여 있다. ….. 그들의 작업에는 ‘기계는 왜 그렇게 독특한 존재감을 가지고 우리 앞에 맞서고 있는가?라는 질문이 빠져 있다. 사실 하나의 기계에는 공학이론과 역사가 응축되 있는데 예술이론과 역사가 응축된 예술작품이 그걸 따라가는것은 쉬은일이 아니다.

- 기계의 눈과 인간의 눈이 만나는 지점, 이영준, 기계비평가


Hanjong YOON’s Nature series appears very practical and materials, but it poses an unexpectedly different question concerning the kind of position humans have to adopt toward machines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term technology as it is used here is not the technology we generally refer to. It refers to a highly advanced technology deep into human cellular tissue. While 20th century machines pursued precision and high performance, 21st century machines seek intellectualization and integration. One of the issues associated with machinear is not “how good its performance is” but ‘How well it communicates with humans and opens up a new machine world, burrowing into the human senses.” the machinery penetrates deeply or filters into that which we call “humanistic,” forging the interface with humans. 21st century machines are primarily intelligent and have been jumbled together with their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 All their attempts were met with failure because they made poor artistic machines without addressing the issue associated with the humanization of machines and the mechanization of humans. Their works did not raise the question, “Why do machines confront us with their distinctive presence?” Engineering theory and history are condensed into one machine. It's Not easy for a work of art condensed with art theory and history to catch up with this.

- Where Mechanical Eyes Meet Human Eyes, Youngjune LEE, Machine critic


 

Title: 처리되지 않은 존재 | Untreated Beings

Year: 2020

Artist: 윤한종 | Hanjong YOON

Publisher: 눈빛출판사 | Noonbit Publishing Co.

Designer: 다디다다 | DaDeeDaDa

Printing: 문성인쇄 | Munsung Printing

Edition: 700

 

bottom of page